소프트웨어 22

아희 프로그래밍 언어로 백준 1000번을 풀어보자!

아희는 난해한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자세한 설명은 나무위키에 잘 되어있으니 여기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만, 간단하게나마 뭐하는 언어인지 소개하겠습니다. 아희는 오로지 한글로만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언어이며 한글로 된 프로그래밍 언어중 최초의 난해한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개발자분은 한국 위키백과 & 엔하위키 미러 (아시는 분들은 다들 아시겠죠) 운영자셨던 Puzzlet Chung이라는 분입니다. 프로그래밍 언어를 처음 만났으면 뭐다? Hello world! 출력이죠. 예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뱔뿌둬뱺쀠더빠뚜 터벚봃떠빠뷹붏뼤 나퍄따쀄븈뵳두받 붏타볻뚜벓탸볐밢 떠볽뻐뷦투희맣어 ? ??? ????? !!!!!!! 이런 언어입니다. 아시겠죠? 과제하기 너무 싫어서 저도 한번 따라해봤습니다. 저는 백준 1000번 A..

소프트웨어 2020.04.25

학식 데이터를 크롤링하는 파이썬코드로 디스코드 학식 봇 만들기 (2/3)

https://sheepjin99.tistory.com/21 이 포스트를 읽기 이전에 읽어두시면 좋은 1편입니다. 학식 데이터를 크롤링하는 파이썬코드로 디스코드 학식 봇 만들기 (1/3) 오랜만입니다! 요즘 온 나라가 코로나 바이러스 때문에 힘드네요 ㅠㅠ 저도 학교 개강이 미뤄지고 싸이버강의를 들으며 공부하고 있습니다. 원래는 개강하기 전에 완성하려고 했던 디스코드 학식봇을 지금 완성해.. sheepjin99.tistory.com 저번편에 이어서 디스코드 봇을 만들어보겠습니다. 저희가 사용할 디스코드 봇 모듈은 Discord.py라는 패키지로 여기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github.com/Rapptz/discord.py 일단 디스코드 봇의 뼈대를 만들어보겠습니다. https://disc..

학식 데이터를 크롤링하는 파이썬코드로 디스코드 학식 봇 만들기 (1/3)

오랜만입니다! 요즘 온 나라가 코로나 바이러스 때문에 힘드네요 ㅠㅠ 저도 학교 개강이 미뤄지고 싸이버강의를 들으며 공부하고 있습니다. 원래는 개강하기 전에 완성하려고 했던 디스코드 학식봇을 지금 완성해서, 파이썬을 사용하여 학식을 크롤링하고, 디스코드로 데이터를 보내주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합니다. 왜 디스코드인가? 제가 전에 사용하던 카카오톡 자동응답 학식봇이 운영을 종료함에 따라, 제가 생각할 수 있는 최고의 플랫폼은 디스코드입니다. 디스코드는 리눅스, 윈도우, 안드로이드, 아이폰.. 등등 여러가지 OS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하나의 프로젝트로 여러가지 플랫폼을 노릴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습니다. 특히 제 경우에는 안드로이드랑 리눅스를 자주 쓰니깐 오히려 카카오톡보다도 가까울 수 있는 플랫폼이 디..

아치리눅스 AUR(Arch linux User Repository)을 만들어봤습니다.

https://github.com/sheepjin99/AUR_ttf-proggy-vector 아치리눅스는 타 리눅스와 다르게 pacman 이라는 공식 저장소와 AUR(Arch linux User Repository)라는 서드파티 저장소가 있습니다. 보통 필수적인 프로그램은 pacman에서 받으면 되지만, 기타 어플리케이션들은 사용자들이 아치리눅스에 맞게 다시 짜서 AUR을 통해 다운로드, 설치하게 됩니다. AUR은 간단한 구조로 돌아가는데, 일단 원본 프로그램 소스를 다운받고, 압축을 해제한 후 PKGBUILD라는 파일을 통해 쉘 스크립트가 돌아가면서 fakeroot에 들어가 설치를 하게 됩니다. 이와같은 이유때문에 AUR helper (yaourt, yay)를 쓸때는 루트권한으로 실행하면 안됩니다. 저..

"SleepWithAI"가 애플 앱스토어에 올라갔습니다!!

저번에 소개드렸던 SleepWithAI 어플리케이션이 이번에 애플 앱스토어 심사를 통과하여 앱스토어에 등록되었습니다! iOS 13 이상의 iPhone과 iPad에서 설치, 사용 가능합니다. https://apps.apple.com/us/app/sleepwithai/id1498395373 ‎SleepWithAI ‎이 앱은 동국대학교 LINC+ 사업단, 연구처 청년기업가센터에서 지원받아 만들어진 앱입니다. 참여 학생 : 김완기, 임연지, 조양진 SleepWithAI(A.K.A. SWAI) is application for users who want to sleep efficient with personal optimized data. SWAI will recommend and turn on the alarm..

소프트웨어/iOS 2020.02.14

우주최강 다국어 입력기 프레임워크 "nimf" 만자로 리눅스에 설치하기

요즘 사용하는 오픈소스 입력기가 마음에 들어 소개하고자 합니다. nimf라는 입력기인데, nimf의 뜻은 nimf is an input method framework라고 합니다. 재귀적인 이름부터 근본이 넘치죠? GNU가 Gnu is Not Unix였던거 생각하면 근본력부터가 다릅니다. ibus 한글 입력기의 경우, twitter 공식 웹사이트나 pycharm이나 clion등 제트브레인사의 IDE에서 끝 글자가 씹히는 버그가 아직도 안잡히고 있는데, nimf는 그런거 없습니다. 그렇다고 한글만 지원하냐? 절대 아닙니다. 다국어 입력기에요. UI도 깔끔하고, 시스템 트레이에 뜨는 아이콘도 너무 귀엽습니다. 최고에요. 근데 문제는 현재 nimf 개발이 진행되지 않고 있어서, 패키지저장소에서는 outdated..

[KDE] 프로그램을 깔았는데 프로그램을 찾을 수 없는 경우

어제 만자로를 깔고 기본적인 IDE들과 어플리케이션을 깔았는데, KDE Plasma 상에서 깔은 프로그램이 보이지 않더라구요. 이럴 땐 /usr/share/application 폴더에 갑니다. 정상적으로 모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걸 확인하고, 컨트롤+A 버튼으로 모든 .desktop 확장자 파일을 잡고, 컨트롤+C를 해둡니다. (복사해둡니다) 우 상단의 메뉴바에서 숨김파일 보이기를 누릅니다. 이후 /home/(사용자이름)/.local/share 에 들어가서 application 폴더를 찾습니다. 만약 application 폴더가 없다면 새폴더를 하나 만드시거나, 터미널로 mkdir를 하시면 됩니다. 이후 application 폴더에 아까 복사해뒀던 .desktop 파일들을 붙여넣기 합니다. 이후 ..

[i3] i3 WM(Window Manager) 설치해보기

리눅스에서는 Desktop Enviornment과 Window Manager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Desktop Enviornment는 줄여서 DE, UI 구성과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해서 지칭하고, Window Manager는 줄여서 WM, 창의 위치, 창을 보여주는 방식과 이동하는 방법 등 여러가지 창에 대한 것을 다룹니다. 대충 예를 들어보자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우분투에는 DE로 Gnome이 들어가 있고 WM으로는 유니티가 들어가 있습니다. 리눅스는 Distro 마다 각자 지향하는 목표와 철학이 다르므로, DE와 WM이 다를수 밖에 없습니다. 사용하는 DE와 WM에 따라서 유저 익스피리언스가 매우 다를테니깐요. 오늘 글을 작성해보려는 주제는 이 WM중 하나인 "i3"입니다...

SleepWithAI 개발 & 겨울방학 iOS 개발자 양성 프로그램 수료

저번달에 동국대에서 실시한 iOS 개발자 양성 특강에 참여했다는 글을 작성했었는데, 어제 (2/3) 그 길고도 짧았던 특강이 끝났습니다. 특강은 코더스하이와 함께 총 7주간 진행되었으며, 약 4주간 Swift 문법과 Xcode 사용법, 그리고 여타 데이터 입출력 방법을 배우고, 나머지 3주간 팀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팀을 짤때도 상당히 재밌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는데, 수업을 듣는 모든 학생이 각자 하나씩 어플리케이션 아이디어를 만들어, 스토리보드를 그리고 발표를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그 아이디어 중 학생들이 각자 투표를 진행하여 3명이 되면 팀이 꾸려지는 방식이었는데, 제 경우에는 슬리피타임이라는 홈페이지를 참조하여 수면 싸이클을 사용한 수면 도움 어플리케이션을 만들자는 아이디어였습니다. 그런..

소프트웨어/iOS 2020.02.04

GitHub for mobile (Android) 설치

Github에서 공식 퍼스트파티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을 만들고 있다는 소식이 있었죠! https://github.com/mobile 에서 안드로이드, iOS 베타 신청 할 수 있습니다. 저도 베타테스터를 예약모집하길래 저번에 신청했던 기억이 납니다. 드디어 오늘 깃헙에서 앱이 출시됐다고 베타테스트에 참여하라는 독촉(?)메일이 왔네요. 바로 구글플레이가 나오고 테스트 참여하기 버튼을 눌러서 앱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5회 이상이라니 ㅋㅋㅋ 제가 겁나 빨리 받았나봐요. 앱의 UI는 크게 3개의 탭바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첫 번째로 Home, 말 그대로 이슈, 풀리퀘스트, 레포와 조직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네요. 두 번째 탭바는 알림창, 레포지터리 알림이랑 이슈등 그냥 흔히 볼 수 있던 깃헙..